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후기정리#8]윈도우11(Window11), 우분투(Ubuntu) 멀티부팅(Multiboot) 환경에서 다이소 블루투스(Bluedtooth) 마우스(BM101) 설정 멀티 페어링(Multi-pairing) 방법

by mint_J_mk36 2024. 3. 23.
반응형

PC에 한 가지 운영체제만 사용하는 것은 몇 가지 하고 싶은 커스텀을 할 때면 한계에 부딪칠 때가 있지요. 사용하다 보면 윈도우11 운영체제에서 편리한 것이 있고, 맥OS에서 해야만 하는 것이 있거나, 우분투 같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하여야 간편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윈도우11과 우분투로 멀티부팅 환경을 구성해 놓고 필요한 운영체제로 부팅하면서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유선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때에는 불편함이 없으나, 선이 없는 즉 블루투스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생깁니다. 특히 들고 다니기 간편한 단순한 제품일수록 멀티페어링(?) 같은 기능이 없다 보니 PC를 켤 때마다 페어링 하고 삭제하고를 반복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공부 겸 도전해 보고 또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아 창고에 넣어두려 합니다.

 

정리#8.1 간편한 다이소 맥스틸 블루투스 마우스(MAXTILL BM101)

부담없이 막 들고 다닐 수 있는 마우스는 다이소에 있습니다. 5천 원이며, AA배터리 1개가 필요하구요. 생각보다 오래가더군요. 작년 4월경에 구매하였는데 아직까지 배터리 교체 없이 사용 중입니다.

https://www.daisomall.co.kr/pd/pdr/SCR_PDR_0001?pdNo=1031573&recmYn=N

 

다이소몰

 

www.daisomall.co.kr

 

 

정리#8.2 이해한 개념(일반 사용자 입장)과 순서

멀티페어링을 위해 선택한 방법은 한마디로 윈도우11에 페어링 된 정보를 우분투에도 동일하게 넣어줘서 마우스는 이게 윈도우인지 우분투인지는 모르고 그냥 시키는 데로 움직이게 한다는 것입니다.

1. 우분투에서 마우스 페어링 후 재부팅(우분투에 마우스 페어링에 대한 정보를 생성)

2. 윈도우11에서 마우스 페어링

3. 윈도우11에서 PCexec를 이용하기 위해 PSTools를 다운로드(PCexec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링크 참조)

https://learn.microsoft.com/ko-kr/sysinternals/downloads/psexec 

 

PsExec - Sysinternals

원격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learn.microsoft.com

 

4. 다운로드 받은 PSTools.zip 압축 해제

5. 윈도우 탐색기에서 압축 해제한 PSTools폴더로 이동 후 경로 복사(윈도우 탐색기의 주소 입력창 클릭 후 ctrl+c)

PSTools경로

 

6.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d명령으로 PSTools 폴더로 이동

7. 아래 명령어 입력(error code 0 반환)

psexec.exe -s -i regedit /e C:\BTKeys.reg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BTHPORT\Parameters\Keys

명령프롬프트

 

8. 탐색기에서 내PC -> 로컬디스크(C:)로 가면 BTKeys.reg 파일이 생성되어 있음.

9. 마우스 우클릭하여 메모장에서 BTKeys.reg 파일을 열기

10. BTKeys.reg의 모든 내용을 복사, 메모장 새파일을 열고 붙여넣기 후 저장(BTKeys.txt)하고 이 파일을 우분투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드라이브에 넣거나 이용 중인 클라우드 서비스에 넣기, 윈도우11 종료

11. 우분투에서 파일 실행, 좌측 하단의 다른 위치 -> 컴퓨터 -> var -> lib -> bluetooth로 들어가기

12. bletooth폴더에는 폴더명이 맥주소로 되어있는 폴더가 보입니다. 더블클릭하면 사용자 인증 2회 실시

블루투스폴더마우스폴더

위 그림 우측 처럼 또다시 폴더명이 맥주소로 되어 있는 폴더와 cache, settings 파일이 보입니다.

13. 여기서 폴더명을 따로 저장해 두었던 BTKeys.txt에 있는 맥주소로 폴더명을 바꿔 줍니다(영문은 대문자로 바꿉니다).

예를 들면 Ted의 경우 8번째 줄에 아래 같은 구조가 보이는데요. 제일 마지막에 있는 내용이 마우스의 맥주소였습니다.

(우분투의 맥주소로 된 폴더명과 끝자리 2개만 달랐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ontrolSet001\Services\BTHPORT\Parameters\Keys\블루투스맥주소\마우스의맥주소]

 

14. 폴더명을 바꾼 폴더를 더블클릭하여 들어가서 info파일을 엽니다.

 

정리#8.3 여기부터가 진짜

info 파일 중 다음의 5가지를 따로 저장해 두었던 BTKeys.txt에 있는 내용으로 바꿉니다.

① [IdentityResolvingKey]
Key=

--> BTKeys.txt의 "IRK"항목의 맥주소를 영문은 대문자로 콤마는 삭제하여 입력

② [LongTermKey]

Key=

--> BTKeys.txt의 "LTK"항목의 맥주소를 영문은 대문자로 콤마는 삭제하여 입력

 

EncSize=

--> BTKeys.txt의 "KeyLength"=dword: 값을 10진수로 바꾼 값(dword:00000010의 10진수는 16임)

      * 검색창에 '16진수를 10진수로 바꾸기' 입력하시면 계산기가 나옵니다.
EDiv=

--> BTKeys.txt의 "EDIV"=dword: 값을 10진수로 바꾼 값
Rand=

--> BTKeys.txt의 "Erand"항목의 맥주소를 영문은 대문자로 콤마는 삭제한 후 10진수로 변환한 값

 

info파일 저장 후 우분투 재시작

 

(했는데 안되더군요. 한참을 또다시 헤매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윈도우로 부팅하였다가, 다시 우분투로 돌아오니 마우스를 인식합니다. 이유는 모릅니다.)

 

마우스는 작은 게 들고 다니기 좋습니다. 다이소 마우스는 작아서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려도 부담 없기에 더 애착이 갑니다.

반응형